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4/3 트럼프 관세발표...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?

by 3번 이다 2025. 4. 3.

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개요

2025년 4월 2일, 트럼프 전 대통령은 **"Liberation Day"**라 명명한 행사에서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.
이 정책은 두 가지 주요 관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:​

 

 

  1. 보편적 관세 (Universal Tariff):
    • 모든 수입품에 대해 일괄 10% 관세를 부과합니다.
    • 시행일: 2025년 4월 5일 오전 12시 1분(EDT)부터 적용됩니다.
  2. 상호 관세 (Reciprocal Tariffs):
    • 특정 국가에 대해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합니다.
    • 시행일: 2025년 4월 9일 오전 12시 1분(EDT)부터 적용됩니다.

 

 

🌍 국가별 추가 관세율

 

트럼프 행정부는 미국과의 무역수지 적자가 큰 국가들을 대상으로 추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.
주요 국가와 해당 관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:​

 

  • 중국: 기존 20% 관세에 추가 34% 관세 부과 → 총 54% 관세 적용
  • 캄보디아: 49% 관세 부과
  • 베트남: 46% 관세 부과
  • 스리랑카: 44% 관세 부과
  • 방글라데시: 37% 관세 부과
  • 태국: 36% 관세 부과
  • 대만: 32% 관세 부과
  • 인도네시아: 32% 관세 부과
  • 스위스: 31% 관세 부과
  • 남아프리카 공화국: 30% 관세 부과
  • 파키스탄: 29% 관세 부과
  • 인도: 26% 관세 부과
  • 한국: 25% 관세 부과
  • 일본: 24% 관세 부과
  • 유럽 연합(EU): 20% 관세 부과

 

 

 

 

 

 


🚗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

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:

  • 자동차: 모든 해외 생산 자동차에 대해 25% 관세 부과
  • 철강 및 알루미늄: 25% 관세 부과 (2025년 3월 12일부터 시행)

 

 

 


 

 

 

📈 관세 정책의 영향 및 반응

 

  • 국내 산업 보호: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 관세 정책이 미국 산업 보호무역 적자 감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
  • 국제적 반발: 그러나 중국, 유럽 연합(EU) 등 주요 교역국들은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.
  • 경제적 우려: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관세 정책이 소비자 물가 상승글로벌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