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윤석열 헌법재판소 방청 신청 방법 생중계

by 3번 이다 2025. 4. 1.

 

여기서 신청해야 하는데  혹시나 모를경우 아래 링크에 자세하게 설명 해놨습니다.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CA4V8VKIlWY

 

 

 

 

헌법재판소의 선고 또는 변론을 방청하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해 인터넷 신청 절차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
 

아래의 순서를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:

 

 

  1. 헌법재판소 홈페이지 접속: 헌법재판소 공식 웹사이트에 방문합니다.
  2. 방청신청 페이지 이동: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서 '선고·변론사건'을 선택한 후, 하위 메뉴에서 '방청신청'을 클릭합니다.
  3. 예약하기 선택: '방청신청' 페이지에서 '예약하기' 버튼을 클릭하여 방청 가능한 사건 목록을 확인합니다.
  4. 방청 희망 사건 선택: 목록에서 방청을 원하는 선고 또는 변론 사건을 선택합니다.
  5. 신청서 작성: 선택한 사건의 방청신청 페이지에서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, 신청서를 작성합니다.
  6. 신청 기간 확인 및 제출: 각 사건마다 방청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, 해당 기간 내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 신청은 선고 또는 변론 전일 오후 5시에 마감됩니다.
  7. 추첨 결과 확인: 방청인은 방청 전날 오후 5시에 추첨으로 선정되며, 추첨 결과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안내됩니다.

 

 

*또한 사안을 중요한 만큼 각 방송국 사에서 생중계 진행한다고 하니, 관심 있으신분들은 직접 보시면 좀더 나을것 같습니다.

 

 

재판관 9명 중에서 6명 이상이 찬성하면, 즉시 물러나게 되고, 반대로 6명 미만이면 기각되거나 각하되어 그는 다시 돌아가게 됩니다. 이 과정은 지난해 12월 14일 국회의 소추안 의결 이후 시작되었습니다.

 

 

마치며........

 

 

탄핵 이후 여야의 향후 입장은 아래와 같이 간단히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:

  • 여당(정부 여당 측): 판결을 정치적 정당성 확보의 계기로 삼아 주도권 장악에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. 빠르게 당내 결속을 다지고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며, 향후 선거 전략도 탄력적으로 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.
  • 야당: 판결 결과에 따라 책임론이 부상할 수 있으며, 당 내 분열이나 노선 갈등이 재점화될 우려가 있습니다. 명분 재정비와 리더십 재구성, 그리고 대국민 신뢰 회복이 시급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.

또한, 사회적 분열과 정치적 피로감 속에서 정치 전반의 신뢰 회복이 가장 큰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, 4월 4일이 실제로 최종 판결일이라면 그 날은 정치 지형을 가르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